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11)
해외 ETP 거래 단점 및 위험사항 해외 ETP(ETF, ETN) 거래 단점 오늘은 해외 ETP 거래의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엇보다 위험한 내용에 대해 알아볼 텐데 참고하셔서 해외 ETP거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외 ETP : 해외 거래소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ETP를 말하며 ETP는 ETF(상장지수펀드)와 ETN(상장지수 증권) 등을 의미 해외 ETP 거래 단점 및 위험사항 1. 해외 ETP는 투자대상 자산의 종류 및 운용방법, 수익구조 등이 다양하여 투자 의사결정 전에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2. 해외 ETP는 장내에서 거래되는 상품으로 일반적으로 ETF와 ETN 등으로 구분되며, 주식∙채권∙지수∙통화∙펀드∙Commodity 등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른 시장위험이 존재합니다. 3. 해외 ETP는 발행회..
미국 레버리지 ETP세금 알아보기 미국 레버리지 ETP세금 오늘은 미국 레버리지 ETP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과 다른 미국의 세금 방식에 대해 알아보시며 미국 주식 등의 경우에 어떠한 세금을 내야하는지 정보를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미국 레버리지 ETP 세금 Section 871규정 미국 비거주자의 미국주식 레버리지 ETP 투자 시 배당과 동일한 이익은 얻지만 배당세 원천징수는 회피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2017년 1월부터 배당으로 간주할 수 있는 수익을 분기 단위로 산정해 15%의 배당세에 상응하는 금액을 세금으로 사후 징구하는 미국 법령입니다. 배당으로 간주할 수 있는 수익은 운용사가 산정합니다. 분기 중 특정일 기준으로 배당세 산정하고 기준일은 ETP 마다 상이합니다. 5%의 세금은 달러로 출금합니다. 한-미 조세협약에 따..
가상자산 과세와 가상자산 세금 및 가상자산 양도세 총정리 가상자산 과세 오늘은 가상자산 과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상자산에 따른 세금이 어떻게 나오는지, 양도세는 어떻게 나오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가상자산 과세 가상 자산을 사고팔거나 대여해 발생한 소득이 250만 원이 넘으면 그 초과분에 20%의 세율이 매겨집니다. 2022년부터 가상 자산의 양도·대여로 발생한 소득 중 250만 원 초과분에 20% 세율을 적용해 기타 소득으로 분리 과세합니다. 우선 과세 대상 소득은 '총수입 금액'(양도·대여 대가)에서 '필요 경비'(실제 취득 가액 등)를 뺀 금액으로 한다. 여기서 필요 경비를 계산할 때는 '선입선출법'을 적용한다. 먼저 매입한 가상 자산부터 순차적으로 양도한 것으로 여겨 필요 경비를 따지는 계산법이다. 과세 시점 과세 시점(2022년 1월 1일) 이전에..